Chang Ucchin: The Eternal Home



전시 기간:
2025년 5월 7일 ~ 7월 19일

  • 관람 시간: 화요일~금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11시 ~ 오후 5시

  • 휴관일: 일요일, 월요일

장소: 뉴욕한국문화원 1층 아트리움 & 2층 갤러리

  • 122 East 32nd Street, New York, NY, 10016

개막식: 5월 7일 수요일 (오후 6-8시)

장욱진(1917–1990)은 한국 모더니즘을 확립한 1세대 작가로서, 천진난만하고 유희적인 독창적 예술양식을 구현하며 근현대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작품은 가족, 집,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미술의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장욱진은 가장 단순한 형태 속에서 삶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발견하며, 익숙한 자연 요소들인 나무, 새, 해, 달 등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안식과 평온의 세계를 그려냈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 집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삶의 중심이며, 영혼의 피난처,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이상적인 합일을 이루는 공간으로 승화된다.


* 사진: 정대한

1992년, 뉴욕 리미티드 에디션스 클럽(Limited Editions Club, LEC)은 장욱진을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작가로 선정하고, 그가 남긴 730여 점의 유화 중 말년에 직접 고른 12점을 담은 화집, 『황금방주(Golden Ark)』를 발간했다. 이 화집의 제목은 장욱진의 예술적 가치를 황금에 비유하고, 그가 시대를 이끄는 방주와 같은 역할을 했음을 내포하고 있다. 또 작품의 크기와 색채를 최대한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작가의 감독하에 모두 수작업으로 제작된 이 화집은, 작가의 예술 세계를 집대성한 소중한 기록으로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장욱진의 이번 첫 뉴욕 전시는 『황금방주』에 담긴 작품과 정신을 오늘날 다시 재조명하는 자리이다.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가 잊고 있던 가족, 집, 자연 속의 따스한 감성을 일깨우며, 복잡한 도시 생활 속에서도 평온하고 소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한다. 장욱진이 꿈꿨던 이상적인 세계를 세계 무대에서 새롭게 경험할 수 있도록, 현실과 이상의 경계를 허물며 관객에게 순수한 예술의 울림을 전달하기를 기대한다.


주요 작품 소개

가족도 (1972)

가로수 (1987)

산과 나무 (1984)

두 노인 (1978)

강변 풍경 (1987)

나무와 정자 (1977)

감나무 (1987)

가족 (1978)

나무 아래 부부 (1986)

가족 (1976)

도인 (1985)

ⓒ2025. CHANGUCCHI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아티스트 소개

* 사진: 강운구

장욱진은 박수근, 김환기, 이중섭과 더불어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서양화가로, 한국적 모더니즘의 정수를 보여준 작가다. 1917년 충청남도 연기에서 태어나 일본 동경의 제국미술학교(現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하였으며, 광복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근무한 뒤 1954년부터 1960년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강단에서 물러나 오롯이 자연과 가까운 삶을 살며 창작에 몰두했다.

그의 회화는 집, 가족, 나무, 아이, 새 등 일상의 소박한 풍경과 존재들을 주제로 하며, 캔버스 안에 단순한 형태와 균형감 있는 구도로 유희성과 명상성을 함께 담아낸다. 동양화와 서양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한국의 전통적 소재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해 조형성과 독창성을 확립한 것이 특징이다.

장욱진은 1947년에는 김환기, 유영국 등과 함께 '신사실파'를 결성하며 “사실을 새롭게 보자”는 철학 아래 단순한 재현을 넘어 사물의 근원적인 본질과 정신성을 탐구했다. 그는 1990년 향년 74세로 생을 마감했으며, 남긴 작품과 화집, 수필집 등은 오늘날까지도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장욱진 연보 (1917–1990)

1917
1917년 11월 26일(양력 1918년 1월 8일),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룡리에서 태어남.

1938
동아일보 주최 《제7회 전조선남녀학생작품전》에서 입상하고, 《제2회 전조선학생미술전람회》에서 <공기놀이>로 조선일보사장상 수상.

1939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일본 제국미술학교 서양화과 입학.

1945–47
해방 후 국립중앙박물관 진열과에서 근무.

1954–6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대우조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침.

1957–58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및 뉴욕 월드하우스갤러리 교류전에 참여.

1963
경기도 덕소(현 남양주시 삼패동)에 화실을 마련하고 독립적인 작품 활동 시작.

1964
반도화랑에서 첫 개인전 개최.

1975
서울 명륜동 한옥에 화실을 꾸미고 산문집 『江가의 아틀리에』 출간. 같은 해 선(禪) 사상에 기반한 목판화 밑그림 작업 시작.

1980
수안보의 농가를 개조해 화실을 만들고 부인과 함께 거주하며 작업.

1982
미국 LA 스코프갤러리에서 개인전 개최.

1986
국제화랑에서 고희 기념 《장욱진 작품전》 개최. 이후 경기도 용인 마북리 한옥으로 이주.

1989
미국 뉴저지 버겐예술과학박물관에서 열린 《한국현대미술전》에 참여.

1990
1990년 12월 27일 한국병원에서 타계.


exhibitionBora Yoon